오늘은 나라에서 1,000만원받는 방법을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단 나이 기준으로 2가지 방법으로 나뉘는데
첫번째는 나이가 만15세 ~ 39세라 가정했을 때 나라에서 1,080만원을 타먹는 방법입니다.
4, 50대 이상은 어떻게 하냐고요? 계속 알려드릴게요.
일단,먼저 만15세~ 39세라고 했을 때 우리나라에는 소득이 적은 청년들이 기초생활수급자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최소한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나라에서 도와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혹시 [청년 저축계좌]라고 들어보셨나요?
그게 뭐냐하면 매달 10만원씩 저축하면 나라에서 매달 30만원씩 지원금을 더 줍니다. 거기다 3.3% 금리로 이자까지 쳐서 3년 뒤에 1,440만원으로 돌려주는 겁니다.
실제로 저축한 돈은 10만원씩 3년을 하더라도 360만원 이잖아요? 그럼 그것도 돌려받는 거고 거기다가 나라에서 1,080만원의 지원금을 주고 3.3%의 고금리로 이자까지 쳐주니까 소득이 낮다면 이건 안할 이유가 전혀 없지요.
나라에서 그냥 떠먹여 주는건데, 안하면 완전 손해지 않겠습니까?
청년이 좋은 직장에 취업해서 돈을 많이 번다면 지원하기 힘들겠지만 소득이 낮다면, 누구나 지원이 가능합니다.
나이는 만 15세~39세 이하여야 되는데 다른 제도에 비해 자격 요건이 간단합니다.
여기 표를 보면 가입 신청 기준이 나와있습니다.
중위소득 50%의 월급을 받아야 지원이 가능한데 1인 가구는 913,916원이잖아요.
기준이 넘 낮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이건 말 그대로 가입 기준이여서 가입하는 시점에만 90만원 미만의 파트타임 알바를 한다음에 오른쪽에 보면, 가입 유지 기준이 나옵니다.
맨 처음에 가입할때만 파트타임 알바로 하고, 그 이후에는 월급 많이 주는데로 옮겨도 월급이 278만원 미만이라면 계속 가입이 유지가 됩니다.
처음엔 90만원 이하의 파트타임 알바를 구해서 하시면서 취업을 준비하던가 월급을 더 많이주는 다른 알바를 구하면 됩니다. 이때 우리가 구한 직장의 월급이 278만원 이하라면 3년간 10만원씩 저축을 합니다. 그럼 나라에서 1,080만원을 그냥 타먹을 수 있습니다.
이게 그냥 단순히 1,080만원만 타는게 아니라 매달 10만원씩 이라도 36개월간 꾸준히 하니까 뭔가 목돈이 생긴다는 그 경험 자체가 우리의 작은 성공으로 받은 1,080만원이 귀한 경제적인 토양이 될겁니다.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도 지원 가능하니까 참조하세요.
근데, 이게 나라에서 1,080만원을 그냥 주는거다 보니까 여기에 뭔가 조건을 걸어놓긴 했어요.
3년간 일을 꾸준히 해야 하고 1년에 1번씩 교육을 들어야 합니다.
거기다 3년 내로 국가 공인 자격증 1개를 취득해야 합니다.
근데 여기서 자격증은 크게 걱정을 안해도 되는게 만약, 암기하는 필기 시험이 싫으면 여기 보이는 10개의 자격증 중에서 1개를 따시면 됩니다.
여기에 보이는 자격증은 전부 실기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근데 이번에는 실기는 싫고 그냥 암기만 해서 자격증을 따고 싶다고 하면 이 5개 중에서 취득하면 문제가 없어요!
[청년저축계좌]의 신청은 1년에 4번을 신청할 수 있는데
1차는 2월 1일~19일, 2차는 5월 3일~20일, 3차는 8월 2일~19일, 4차는 10월 11일~28일까지인데 참조하시면 됩니다.
근데, 신청할 때 온라인으로는 신청이 안됩니다.
우리가 사는 곳의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자가진단하는 표를 작성한 후 거기에서 내라는 서류들 받아가지고 작성을 한 다음 제출하면 됩니다.
여기에 보면 나오는 것처럼 총 7가지 서류인데 작성을 하다보면 어렵지 않으니까 할만 하실겁니다.
신청을 한 다음에 선정이 되면 담당자한테 연락이 올겁니다.
통장을 개설하라고 하면 은행가서 통장을 개설하고 우리가 가지고 있는 10만원을 입금하면 됩니다. 그리고 자동이체로 매달 10만원씩 나가게 설정만 하면 끝입니다.
그러면 그냥 우리는 우리 할거 하고 3년 뒤에 1,080만원 타먹고 3.3% 이자까지 받으니까 완전 좋쟎아요.
이렇게 나라에서 지원받은 목돈은 우리가 이사갈 집 보증금에 보태거나 학비나 교육비에 보태거나 병원에 갈 때 사용하거나 창업이나 취업에 사용해야 된다는 점 잊으면 안됩니다.
두번째 유형은 나이 상관없이 지원 가능한 방법입니다.
만약에 우리 나이가 만 15세~ 39세가 아니라면 지금 소개해 드리는 이 방법으로 나라에서 돈을 타 먹어야 되는데 청년이 아니기 때문에 받는 금액이 좀 짜긴 해요.
좀 전에 만 39세까지는 매달 10만원씩 저축을 하면 나라에서 매달 30만원씩 지원해줘서 3년 뒤에 우리가 저금한 360만원에다가 1,080만원을 추가로 받아가지고 1,440만원을 돌려받을 수 있었다면 지금 소개해 드리는 이 방법의 경우에는 매달 10만원씩 저축을 하면 나라에서 매달 10만원밖에 지원을 안해 줍니다.
그러니까 3년 뒤에 우리돈 360만원에다가 360만원을 (나라에서) 지원을 받아가지고 720만원으로 돌려 받는다는 겁니다.
360만원만 주는게 받기 싫다고 그러면 그냥 안하면 됩니다. 그래도 360만원이 어디냐? 싶으면 그냥 하시면 되고요.
이 방법은 [희망키움통장 2]라는 건데 지원할 때 소득 기준은 [청년저축계좌]와 동일합니다.
가입 시에는 중위 소득 50% 이하의 월급을 받아야 신청이 가능하고 가입이 일단 되면, 가입 유지 기준 소득만 맞추면 가입이 계속 유지가 됩니다.
40대 이후라면 1인 가구는 아닐 가능성이 높으니까 작년 팬데믹으로 만약에 직장을 잃었다면 처음에는 가운데 보이는 소득 구간의 시급이 낮은 파트타임 알바나 직장을 구한 다음에 [희망키움통장 2]를 신청하고 가입 유지 기준 범위 안에서 조금 더 나은 월급을 받는 곳으로 옮기더라도 자격이 계속 유지되니까 10만원씩 매달 붙고 3년 뒤에 360만원을 나라에서 추가로 받으면 됩니다.
[희망키움통장 2]의 신청도 1년에 4번을 할 수 있는데
1차는 2월 1일~19일, 2차는 5월 3일~20일, 3차는 8월 2일~19일, 4차는 10월 11일~28일까지 하면 됩니다.
신청 방법은 이것도 온라인으로는 안되고 우리가 사는 곳의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자가진단표를 작성한 다음에 거기에서 내라는 서류를 받아가지고 다 작성을 하고, 신청하면 됩니다.
여기 보면 나오는 것처럼 총 7가지 서류인데
하나씩 하다 보면, 크게 어렵지 않으니까 할만 할겁니다.
근데, 제가 방금 알려준 2가지보다 나라에서 더 많은 돈을 타먹고 싶다면 우리가 중위소득 40%의 기초생활수급자면 가능합니다.
아까전에 내가 말한 건 [희망키움통장 2]였잖아요.
근데 이게 [희망키움통장 1]이 있어요!
근데 [1]은 소득이 엄청 낮아야 지원이 가능해서 현실적으로 받기 힘들어 가지고 말은 안했는데 만약에 팬데믹 때문에 기초생활수급자가 될 정도로 힘들다면 아까 설명한 [희망키움통장 2]보다는 [희망키움통장 1]에 지원하는게 훨씬 좋을겁니다.
[희망키움통장 1]은 매달 10만원 저축한다는 가정하에 나라에서 매달 최소 23만 9천원에서 최대 64만 6천원까지 지원해 주니까 만약 우리가 4인가구에 해당이 된다면 3년 뒤에는 2,300만원을 받는거니까 완전 더 좋은거죠.
근데 이건 해당사항이 있는 사람이 많이 없을테니까 참고만 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오늘은 나라에서 지원해 주는 적금제도에 대해서 알려드렸는데요. 만약 나에게 해당이 된다면 꼭 신청해 보시고 혜택을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되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