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겨울이 가고 봄이 다 온 것 같은 날씨다. 점점 겨울을 정리하고 봄을 맞이하는 과정에서 꼭 해야 하는 것이 바로 겨울이불 정리이다. 그래서 먼저 겨울 이불 세탁법을 숙지하고 세탁 후 잘 정리해서 또다시 돌아오는 겨울을 준비해 보자.
①극세사 이불
겨울철 이불로 많이 이용하는 극세사 이불은 표면에 먼지가 잘 붙고 고온 세탁 시 제품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극세사 이불 세탁시에는 35~40도의 미지근한 물과 액상세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뜨거운 물로 세탁하면 줄어들 수 있다. 만약 가루세제를 사용한다면 가루를 물에 충분히 녹인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극세사 이불은 제품 특성상 손빨래하는 것이 좋지만 두껍고 손이 많이 가는 제품이므로 세탁 강도를 중간 정도로 맞춘 뒤 이불 빨래 전용 코스로 돌려주는 것이 좋다. 가루세제와 섬유유연제는 이불에 변형을 일으킬수 있기 때문에 극세사 이불을 세탁할 때에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②구스다운 이불
거위털을 감싸고 있는 겉 원단이 물세탁이 가능한 소재라면 드라이클리닝보다 물세탁을 하면 된다.
오리털, 거위털 이불은 중성세제를 넣고 울코스로 단독 물세탁을 해준다. 보온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지분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세탁기 사용시 울 코스에 다운 전용세제나 중성세제로 세탁을 하고 손상이 적은 울코스/섬세 코스에 맞춰 세탁을 하면 된다. 찬물보다는 미지근한 물로 세탁하는 것이 좋고 중성세제 외에 다른 제품을 넣는 것은 이불 유지분에 손상이 가므로 삼가야 한다. 드라이클리닝을 하면 깃털의 기름기가 빠지면서 다운 소재 특유의 복원력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다운 이불은 습기에 취약하기 때문에 건조기는 최저온도로 사용해야 한다.
구스이불 세탁 후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눕혀서 말리고 이불속에 뭉친 거위털이 잘 풀어질 수 있도록 두드려 줘야 구스 이불의 숨이 죽지 않고 안쪽까지 잘 건조된다. 구스 이불 세탁을 자주 하게 되면 변형이 일어나거나 보온성이 떨어질 수 있으니 꼭 필요한 경우에만 세탁을 한다.
③면, 텐셀, 폴리에스테르 이불
면은 가정용 중성세제, 약 알칼리성 세제 모두 사용가능하다. 합성세제는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남은 세제가 몸에 직접 흡수되어 건강을 위협한다. 세탁 마지막에 섬유유연제를 사용하면 정전기 방지도 되고 이불 촉감도 부드러워진다. 텐셀은 유칼립투스 나무에서 뽑아낸 친환경 식물성섬유다. 텐셀이나 모달 같이 부드러운 소재 및 자수나 장식물이 있는 침구는 뒤집어서 울코스로 세탁하거나 세탁망을 사용하면 된다. 살균을 위해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변색될 수 있으니 서서히 건조하는 게 좋다. 세탁 후에는 꼭 완전히 건조해준다. 각 솜 별로 세탁방법을 꼭 확인하고 세탁한다.
④솜이불
솜 이불은 솜 종류에 따라 세탁 방법이 다르다. 화학솜 이불은 물세탁 후 햇볕에 말려주면 된다. 천연 목화솜 이불은 물에 닿으면 솜이 뭉치면서 굳어 버릴 수 있으니 물세탁 대신 햇빛에 자주 말리거나 청소기로 먼지를 없애면서 관리한다.
⑤양모이불
양모는 세탁시 형태 변형이 일어나기 쉬운 제품이다. 양모 이불은 제품마다 세탁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세탁 전에 물세탁 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물세탁이 가능한 제품은 중성세제를 이용해 울 코스로 세탁하거나 찬물에서 손세탁 후 솜이 뭉치지 않도록 탁탁 털어 말린다. 물 세탁이 불가능한 양모 이불은 반드시 드라이클리닝을 해준다. 양모 이불은 자주 세탁하면 보온성이 떨어질 수 있으니 1~2년에 한 번씩 세탁한다. 양모 이불은 세탁을 자주 하는 것보다 평소에 그늘에서 건조해 주거나 수시로 먼지를 털며 관리해 주는 게 좋다.
이렇게 각 소재별로 세탁법을 잘 숙지하고 세탁해서 겨울이불을 돌아오는 겨울에도 잘 사용해보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