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튜브 주식채널의 조회수 폭발!

by ♡타키♥ 2021. 3. 22.

삼성증권 유튜브, 증권업계 최초 누적 조회수 7000만 뷰 돌파

 

삼성증권의 공식 유튜브 채널인 'Samsung POP'이 지난 21일 증권 업계 유튜브 채널 중 최초로 총 조회수 7000만 회를 넘어섰다고 22일 밝혔다.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된 영상의 한 편당 평균 조회수와 총 누적 시청시간은 각각 14만 4000뷰(영상 수 489개)와 168만 시간으로 업계 평균 대비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연초부터 2월말까지 약 2개월 간 삼성증권에서 업로드한 투자정보 콘텐츠는 월평균 7건인데 반해, 올해 같은 기간 업로드한 콘텐츠는 월평균 46.5건이었다. 미디어전략팀 신설 이후 약 7배 가까이 양을 늘렸다.

지난해 '동학개미' 열풍에 맞춘 업로드 횟수의 폭발적인 증가폭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올해부터 라이브 투자 정보 콘텐츠 등 다양한 콘셉트의 방송을 추가로 늘리며 자사 유튜브 채널을 구독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창구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삼성증권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된 콘텐츠는 단순 국내 투자정보를 넘어 미국, 중국, 유럽 등의 글로벌 증시, 금융투자 상품, 세무, 연말정산 등 다양한 영역의 주제를 쉽게 풀어 설명해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유튜브를 통해 올라오는 댓글과 반응 등을 취합, 구독자의 다양한 니즈에 부합하기 위해 삼성증권에서 작년 말 신설한 투자정보영상 전담팀인 미디어전략팀을 통해 풍부한 양의 콘텐츠를 제공한 것도 하나의 이유로 보인다.

영상 말미에는 10분 이상 구독자와의 Q&A 시간을 편성해, 해당 고민에 대한 베테랑 애널리스트의 인사이트를 공유하며 구독자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이끌어내고 있다.

 

그중 지난 2월부터 새롭게 업로드하기 시작한 '마켓 Chef '시리즈는 삼성증권 정명지 투자정보 팀장을 필두로 '주린이'를 위한 국내ㆍ외 시장 전반의 핵심 이슈들을 쉽게 풀어 설명하며 인기 몰이 중에 있다.

 

한편, 유튜브 채널이 구독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창구를 넘어 새로 출시되는 금융투자상품 등을 소개하는, 유통업계의 '라이브 커머스'와 같은 제2의 마케팅 채널로써 활용되는 모습도 포착됐다.

 

삼성증권은 지난 2월 25일 업계 최초로 '중개형 ISA'를 출시하면서 '재테크 톡톡, 투자 만능통장! 중대형 ISA의 모든 것'

영상을 출시일에 맞춰 업로드해 중개형 ISA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기도 했다.

 

지난 2월 25일 삼성증권에서 업계 최초로 출시한 '중개형 ISA'에 출시 1주일 만에 2만 5000명이 넘는 고객이 몰리며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음에도 불구하고, '분리 과세', '이월 혜택', '국내 주식 편입' 등 상품 관련 세부 설명이 부족했었던 것이 사실이다.

 

삼성증권에서 해당 영상의 일주일간의 시청 추이를 분석해 본 결과 35세~44세 이용자의 조회수 비중이 약 32.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더 나아가 3월 초 기준 삼성증권 유튜브 채널을 구독하고 있는 전체 이용자를 분석해 보니, 중ㆍ장년층(55세~64세) 구독자의 비중이 지난해 말 11.7%에서 약 20% p 넘게 늘어난 34.0%를 기록해, 타 연령대 대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삼성증권에서 25일 이후 1주일간 중개형 ISA를 신규로 개설한 전체 고객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40대 (25.9%), 30대(23.5%)와 유사한 수치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얻은 정보가 바탕이 돼 실제 거래 플랫폼으로의 유입까지 이어지는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삼성증권 김상훈 디지털 마케팅 담당 상무는 "자사 유튜브 채널은 단순히 투자정보 '전달' 플랫폼을 넘어서 '쌍방향' 소통 플랫폼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는 추세"라며 자사 유튜브에 유입되는 고객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콘텐츠를 발굴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정말 요즘엔 주식도 하나의 정보 전달 창구로 활용되는 시대가 맞는가 보다. 주식에 정보전달 채널이 이렇게 까지 성장하는 데는 그만큼 관심도 많고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람도 많다는 뜻이니까! 지금 이 새대를 살면서 나도 한번 주식 채널 시청을 해 볼까 한다? 이참에 주식 공부 한번 해 볼까? 쉽진 않겠지만.

 

 

 

 

 

댓글